카테고리 없음

많은 사람들이 믿고 의지하지만 과학이 아닌 경우의 예

학점영웅 2021. 1. 6. 03:09

 

 

 

 

많은 사람들이 믿고 의지하지만 과학이 아닌 경우의 예

 

 

 

 

 

 

 

많은 사람들이 믿고 의지하지만 과학이 아닌 경우의 예

 

 

레포트 자료를 원하신다면?

 

레포트 요청 안내

레포트 자료를 요청받을 시,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본인확인절차를 위해 성함과 연락처는 필수로 기입해주시기 바랍니다

form.office.naver.com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과 과학교사의 사이비 과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들의 인식 차이를 분석했다. 서울, 경기, 충북의 중등학교 학생 491명과 전국 중등학교의 과학 교사 65명이 연구되었다. 사이비 과학의 이해를 조사하기 위해, 시험지는 운명과 운명, 미래와 영적 존재에 대한 5개의 문제, 대체의학 5개의 문제, UFO와 미스터리 5개의 문제, 그리고 창조과학 30개의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비과학적인 믿음의 전환을 위해 과학 교육과 관련된 세 가지 질문이 정리되었다. 이 분석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공했다. 첫째, 사이비 과학의 이해에 관한 30개의 질문에서 중등 학생들의 평균 합의는 2.52로 대체의학 분야에서 가장 높은 합의였다. 둘째, 사이비 과학의 이해에 관한 30개 질문에서 과학 교사의 평균 동의 수준은 2.39로 대체의학 분야에서 가장 높은 동의를 얻었다. 셋째, 사이비 과학의 이해에 관한 30개의 질문 중 8개는 중등학교 학생들과 과학 선생님들의 사이비 과학에 대한 인식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인간 체질 18번과 식물 정신 23번 문제에서는 사이비 과학에 대한 과학 교사의 동의 정도가 중학생보다 높았다. 넷째, 비과학적 신념의 전환을 위한 과학 교육에 관한 세 가지 질문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과학 교사들은 중학생보다 사이비 과학 개념을 더 많이 들은 경험이 있지만, 사이비 과학 개념의 과학 과목을 도입할 필요성이 더 심각했다. 장기적으로 사이비 과학 관련 내용이 과학 교과서의 구성과 과학 교과서 개발에 적극 반영돼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중등학교에서 사이비 과학을 극복하기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다. 교원 양성기관에서 과학 교사들에게 사이비 과학에 대한 교육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교과 과정의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TV나 책과 같은 미디어는 올바른 과학을 장려하기 위해 과학과 문화 운동에 앞장서야 한다.

 

 

 

 

출처 강경리. (2013). 사이비과학에 대한 과학교사와 중등학생의 인식조사. , 37(1), 87-116.